
"소비란 무엇인가?" 현대 사회 속에서 우리는 매일 소비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소비가 진정으로 필요한 것인지, 아니면 충동이나 습관에 의한 것인지 스스로 질문해본 적이 있나요?
책구매: 다음 링크를 이용해서 책을 구매해주시면 저희 동호회에 운영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연세대학교에서 〈현대 소비사회의 이해〉 강의를 맡아온 윤태영 교수의 《소비 수업: 우리는 왜 소비하고, 어떻게 소비하며, 무엇을 소비하는가?》는 소비라는 프리즘을 통해 현대 사회의 열한 가지 풍광을 살펴보는 책이다. 유행, 공간, 장소, 문화, 광고, 육체, 사치, 젠더, 패션, 취향 등 저자가 선별한 열한 가지 키워드는 현대인의 일상은 물론, 가장 은밀한 곳까지 영향력을 미치는 소비의 의미를 찾는데 중요한 길잡이로서 작용한다. 또 《소비 수업》은 소비가 점차 중요하게 부각되는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19세기 프랑스 파리의 봉 마르셰 백화점 성공 과정 등 역사적인 측면도 살펴보고, 점차 커지는 소비의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좀바르트, 짐멜, 벤야민, 보드리야르와 부르디외 등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중요하게 인용한다. 저자의 이러한 노력은 독자들이 소비의 이면에서 작동하는 체제의 운영 메커니즘을 엿볼 수 있게 도움을 줄 것이다.
모임제목: 슬기로운 소비생활
기간: 2025년 9월 1일 ~ 9월 28일 (4주간)
일정:
사전모임: 없음
중간모임: 매주 슬랙 토론 참여
마무리모임: 9월 28일 토요일 미국 동부시간 오후 8시
참가대상: 철학에 관심이 있는 모든 분들
운영자: @슬
운영방식:
모임 시작 전, 한 달 소비 목표를 세워봅니다.
매주 주어진 분량을 읽고, 일주일에 3회 이상, 오늘 소비한 리스트를 공유합니다.
필수품 소비인지, 충동소비인지, 과소비인지 간단히 체크만 하셔도 됩니다!
마무리 모임에서 지난 한 달을 함께 되돌아봅니다.
얼마나 많은 시간이 필요한가요?
책을 모두 읽는데 대략 6시간 정도가 소요됩니다.
사전모임, 마무리 모임에 대략 2시간 정도가 필요합니다.
책을 다 읽고, 서평을 작성하는데 2시간 정도가 필요합니다.
총 10시간 정도의 시간 투자가 필요하며, 크레딧(베타 테스트 중)은 1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