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인문고전 1차 - 도덕감정론 3차 모임

Registration is closed
See other events
인문고전 1차 - 도덕감정론 3차 모임
인문고전 1차 - 도덕감정론 3차 모임

일시 & 장소

Jan 06, 2022, 10:00 PM – Jan 07, 2022, 1:05 AM

Online Event

참가자

모임 세부사항

주제 1

 “공정한 관찰자를 과연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공정한 관찰자가 “한 개인이 생각할 때 다수의 사람들이 옳다고 믿는 관점”을 대변하는 것인지, 아니면 공정한 관찰자의 관점이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배척당할 수도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입니다.

주제 2 제 5부 제2장 : 2-10. 행위의 적정성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한글본 (391p)에서 언급된 <문명한 국민들 사이에서의 예절(rules of Decorum)>에 대해 토론하고자 합니다. 첫째)‘키케로는 로마의 예의범절이 가장 발달하였던 시대에, 원로원과 전체 시민들이 지켜보는 앞에서 최대한의 비통함으로 울어댈 수 있었으나, 그 때문에 그의 품위가 떨어지지는 않았다. 그는 거의 매번 연설이 끝날때 가서는 틀림없이 그렇게 울었음이 분명하다. 둘째)그러나 로마초기나 미성숙한 시기의 연설가들은 아마도 그 당시의 예절에 어긋나지 않으면서 자신의 감정을 그처럼 풍부하게 표현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내가 추측하기로, 스키피오, 렐리우스, 대 카토가 공중 앞에서 이런식으로 자신의 연약한 감정을 드러냈다면, 그것은 인간의 본성과 도덕적 적정성을 위반하는 것으로 간주되었을 것이다.’ (참고로, 키케로는 BC60~50년대 & 스키피오, 대 카토는 BC200년대에 정치활동을 했습니다.) 고대 로마시대의 약 150년간의 시간동안 인간 행위의 적정성에 대한…

모임 공유하기

  • Facebook

We create a place to
read, write, talk, and think!

 

Cyber Seowon Foundation

admin@cyberseowon.com

A 501(c)(3) with Tax ID: 87-1990819

©2020 by Cyber Seowon Foundatio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