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Writer's picture바람

임계장 이야기 - 경쟁에 대한 도덕적 담론


조정진 임계장 이야기 - 원문: https://blog.aladin.co.kr/712556256/12306225 이 책은 38년간 공기업에서 근무했던 저자가 퇴직한 이후, 생계를 위해 여러 임시 계약직 일자리에서 겪은 일들을 수기 형식으로 기록한 일종의 르포타쥬이다. 안정적인 직장에서 정년 퇴직을 한 이후 안락한 노후를 기대하던 저자는 예상치 못한 아들의 뒤늦은 대학원 진학을 지원하기 위해 다시 직업 전선으로 뛰어든다. 나이든 노인들을 위한 일자리는 열악한 근무 환경과 기본적인 노동권도 보장되지 않는 시급제 임시 계약직 밖에 없다. 첫번째 버스회사 배차요원, 두번째 아바트 경비원, 세번째 빌딩 경비원과 아파트 경비원의 겸업, 그리고 네번째 고속버스 터미널 경비원으로 겪게되는 일들과 저자의 생각들을 책은 순차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는 르포타쥬 형식의 글들을 좋아하지 않는다. 르포타쥬 형식의 글을 읽다보면 깊은 사고없이 책에서 주어지는 내용들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나를 발견하게 된다. 그럴거라면 티브나 유튜브를 통해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이 오히려 효율적일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 한편, 책을 읽다보면 자기 중심적인 시각을 가진 저자를 보는 것도 불편했다. 뒤늦게 대학원에 진학한 아들의 학비를 지원하기 위해 취업을 결정한 것 저자의 결정도 공감하기 힘들었는데, 이를 지속적으로 최소한의 생계의 수단으로 표현하는 것도 마음에 들지 않았다. 하여튼 책 속에 등장하는 저자 주변의 갑질을 일삼는 무례한 사람들과 저자의 공감하기 힘든 행동들로 인해 책을 읽는 동안 저자가 기대했을 안타까운 마음보다는 답답한 마음을 더 많이 가지게 되었다. 여러가지 부정적인 면면에도 불구하고, 저자의 이야기 속에 묻어나는 세상의 불합리를 외면하기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아담 스미스가 주장한 것처럼 시장에서의 자유로운 경쟁은 부의 총합과 공리의 극대화를 가능케한 자본주의의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생산자들은 경쟁의 과정을 통해 생산성을 확대하여 소비자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재를 공급해주며, 노동자들 역시 경쟁을 통해 건전한 노동시장을 제공하여 생산자들의 안정적인 기업활동이 가능하게 해준다. 바로 이 자유시장에서의 경쟁이 현재 인류 사회가 누리고 있는 번영의 일등 공신이라는 점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 경쟁은 책에 나오는 것과 같은 고르기 쉽고, 다루기 쉽고, 자르기 쉬운 임시 계약직 노인장들을 양산해내는데에도 크게 기여했다. 늘어만가는 고령 노동자들은 한정된 일자리를 둘러싼 경쟁을 심화시켜 고용관계에서 불리한 상황을 악화시킬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저자의 취업은 다른 노동자의 손쉬운 해고와 연결이 되어있었고, 저자의 해고도 결국 손쉬운 대체인력이 가능했기 때문이었다.

노인들뿐만 아니라 노동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많은 사람들은 그 경쟁의 냉혹함에 고통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물론 건전한 노동시장에서 경쟁력에 따른 차등적인 대우는 당연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그 경쟁의 피라미드의 밑바닥에 있는 사람들의 고통에 대해서는 한번 더 고민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물론, 충분한 노력과 준비를 하지 않아 자업자득으로 경쟁에서 낙오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가난의 대물림이나 사회적 혜택에서의 소외와 같은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경쟁에서 낙오되는 사람들도 있을 수 있고, 불운함으로 인해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도 있을 수 있다. 노력과 준비만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사회구조적 문제나 상황적인 문제로 인해 한 개인이 고통을 받아야하는 상황이 지속된다면 이는 분명 도덕적 담론이 필요한 문제일 것이다. 자업자득이라고 하더라도 그 고통의 기간이 길어지거나 정도가 과도하다면 이 또한 도덕적인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슘페터는 자본주의의 커다란 성공이 결국에는 자본주의의 종말을 가져올 것이라고 했다. 자본주의의 고도화는 기술발전과 자원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결국 생존을 위한 생산으로부터 인류를 해방시키게 될 것이고, 생산에 종사하는 시간의 감소는 인류의 여유시간을 늘려, 자본주의 핵심 요소인 자유시장에서의 경쟁에 대한 도덕적 담론을 활성화시켜준다. 인류는 자본주의보다 도덕적 우위인 사회주의나 다른 경제 시스템을 채택하여 자본주의를 대체할 것이라고 한다. 슘페터의 이야기처럼 도덕적으로 우월한 시스템이 언젠가는 오겠다고 가정하더라도 그 과정의 긴 시간 동안에 나타날 인간들의 고통의 총합은 너무나 과도해보인다. 평등의 정신에 입각하여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으로 도덕적인 담론으로 그들의 고통을 쓰다듬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70 views0 comments

Recent Posts

See All

Comments


bottom of page